본문 바로가기
독후감讀後感

조지 오웰과 『1984』 (1)

by perspector 2017. 9. 15.

이 글은 글쓴이가 2014년 모처에서 강의를 듣던 시기에 과제를 제출하기 위해 썼다. 잘 쓴 글은 아니지만, 당시 내 생각은 지금도 유효하다고 본다. 그래서 그 전문을 나눠 싣는다. (조지 오웰의 생애에 관한 내용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여 썼고, 직접인용은 글씨 색을 달리했다.)


1. 조지 오웰과 『1984』



『1984』을 소개하기 전에 영국의 역사학자 E. H. 카의 말을 들어보자.


우리가 어떤 역사책을 집어들 때, 우리의 최초의 관심은 그 책에 포함되어 있는 사실들이 아니라 그 책을 쓴 역사가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한다. 『역사란 무엇인가』 (김택현 옮김, 까치, 2014, 38쪽), E. H. 카

나는 카의 조언이 역사책뿐만 아니라 모든 자료를 해석하는 데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자료를 생산하는 생산자는, 세상에 홀로 동떨어진 사람이 아니다. 개인은 개성을 가진 존재이자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카의 발언을 하나 더 인용한다.

우리는 오로지 현재의 눈을 통해서만 과거를 조망할 수 있고 과거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역사가도 그 자신의 시대에 속하는 사람이며, 인간의 존재조건 때문에 그 시대에 얽매일 수밖에 없다. 『역사란 무엇인가』 (김택현 옮김, 까치, 2014, 42쪽), E. H. 카

비단 역사에 국한한 주장이 아니다. 우리는 자료를 독해할 때 현재의 시각을 견지해야 한다. 자료에만 몰입하여 현재의 눈을 배제하면 그것은 반쪽짜리 해석에 그칠 공산이 크다. 이제 결론이 나왔다. 나는 현재의 시각을 통하여 작품을 대할 터이고, 그에 앞서 작품을 쓴 작가에 방점을 찍을 것이다. 이쯤 되면, 『1984』를 쓴 조지 오웰이 궁금하지 않은가? 서론이 길었다. 오웰을 만나보자.



에릭 아서 블레어(Eric Arthur Blair)는 1903년 6월 25일에 당시 영국의 식민지이던 영국령 인도의 벵갈(오늘날 비하르 주)에서 태어났다.(위키백과 인용) 조지 오웰은 에릭이 훗날 사용한 필명이다. 에릭의 아버지는 식민국의 공무원이었다. 에릭은 두 살이 되던 해 영국으로 돌아왔으므로 유년 시절을 인도에서 보내지는 않았다. 에릭은 헨리온템즈 유치원, 세인트 시프리언즈 스쿨, 웰링턴을 거쳐 명문 이튼스쿨에 입학한다. 그러나 이튼스쿨 졸업 당시 그의 성적은 옥스퍼드에 진학할 만큼 우수하지 않았다. 에릭은 버마에서 인도제국 경찰이 되는 길을 선택하여 5년 동안 공무원 생활을 한다. 그러나 식민국에서의 경찰이란 직업은 에릭에게 맞지 않는 옷이었다. 그 시절의 경험으로 그는 제국주의를 혐오하게 된다.
에릭은 경찰을 그만둔 뒤 유럽으로 건너와 파리와 런던에서 밑바닥 생활을 체험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1933년, 첫 저서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을 발간하고 이때부터 조지 오웰이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오웰은 그의 역작 『동물 농장』과 『1984』를 쓰며 전체주의에 포섭된 공산주의(곧 스탈린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이러한 맥락에는 공화파를 지지하기 위하여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던 경험이 크게 작용했다. 오웰은 파시즘에 대항하려는 목적으로 전장에 뛰어들었으나, 전쟁을 몸소 겪으며 군국주의 파시스트들뿐 아니라 지리멸렬한 공산주의자들에게도 염증을 느낀다. 그는 스페인 국경을 빠져나온 뒤 전쟁의 경험을 종합하여 『카탈로니아 찬가』를 써낸다.
『1984』는 오웰이 말년에 스코틀랜드 주라 섬으로 이주한 뒤 집필한 자신의 마지막 작품이다. 오웰은 작품을 쓴 시기인 1948년의 48을 뒤바꿔 『1984』라는 제목을 지었다. 오웰이 주라 섬으로 떠나오기 전, 삶의 동반자였던 오쇼네시가 사망한다(1945년). 그 후 마음을 잡지 못하던 오웰은 세 명의 여인에게 청혼하지만 모두 거절당한다. 더구나 『1984』 집필에 몰두할 당시 그는 폐결핵과 정맥류성 궤양을 앓는 중이었다. 오웰은 훗날 만약 병이 그렇게 심하지만 않았다면 이 소설도 그다지 어둡지 않았을 것(위키백과 인용)이라고 말했다. 오웰을 둘러싼 일련의 상황이 『1984』라는 작품이 품은 염세적 분위기를 더욱 배가시킨 것이다.



2017/09/15 - [독후감/800 문학] - 조지 오웰과 『1984』 (2)


2017/09/16 - [독후감/800 문학] - 조지 오웰과 『1984』 (3)





댓글